맨위로가기

일요일은 참으세요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요일은 참으세요는 1960년 개봉한 영화로, 피레아스 항구의 매춘부 일리야와 미국인 학자 호머의 만남을 그린다. 일리야는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호머는 그녀를 교화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일리야는 매춘부들의 파업을 주도하고, 결국 임대료를 낮추는 데 성공한다. 영화는 개인의 자유, 여성의 노동권, 사회적 연대를 주제로 다루며,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하고 뮤지컬로 각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흑백 영화 - 엘렉트라 (1962년 영화)
    엘렉트라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을 영화화한 1962년 그리스 영화로, 아가멤논 왕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짐하는 엘렉트라의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 영화적 각색상과 테살로니키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국제 장편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 그리스의 코미디 영화 - 더 랍스터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영화 《더 랍스터》는 근미래 사회에서 짝을 찾지 못하면 동물이 되는 설정 아래, 아내에게 버림받은 남자가 짝을 찾아 숲에서 근시 여성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독특한 설정과 사회 풍자로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 그리스의 코미디 영화 - 그리스인 조르바 (영화)
    미하일 카코야니스 감독의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앤서니 퀸이 자유로운 영혼의 그리스인 조르바 역을 맡아 크레타 섬에서 영국 작가 바질이 조르바를 만나 삶의 변화를 겪는 이야기를 그리며, 시르타키 춤으로 유명해졌고 아카데미상 3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았다.
  • 그리스의 로맨스 영화 - 더 랍스터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영화 《더 랍스터》는 근미래 사회에서 짝을 찾지 못하면 동물이 되는 설정 아래, 아내에게 버림받은 남자가 짝을 찾아 숲에서 근시 여성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독특한 설정과 사회 풍자로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 그리스의 로맨스 영화 - 러브 이즈 스트레인지
    아이라 잭스가 각본 및 감독을 맡은 2014년 미국 드라마 영화 러브 이즈 스트레인지는 뉴욕에서 동성 결혼 후 해고된 노년 게이 커플의 어려움과 주변 인물들의 변화를 섬세하게 그린 작품으로, 존 리스고와 알프레드 몰리나의 연기와 연출로 호평을 받았다.
일요일은 참으세요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Poté tin Kyriakí
감독쥘스 다신
각본쥘스 다신
출연멜리나 메르쿠리
쥘스 다신
음악마노스 하지다키스
제작사멜리나 필름
배급사로퍼트 픽처스 (미국)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일본)
개봉일1960년 10월 1일
상영 시간91분
제작 국가그리스
미국
언어그리스어
영어
러시아어
제작비151,000 달러
흥행 수익 (임대료)4백만 달러
관련 정보
주제가멜리나 메르쿠리

2. 줄거리

일리야는 그리스 피레아스 항구에서 일하는 자유로운 영혼의 매춘부이다. 그녀는 일요일에는 일을 하지 않고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미국인 학자 호머는 고대 그리스 문화를 동경하여 피레아스를 방문하고, 일리야를 만나 그녀의 삶이 고대 그리스 문화의 타락을 보여준다고 생각하여 그녀를 교화하려 한다. 하지만 일리야는 호머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으며, 오히려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낸다.

한편, 매춘부들은 자신들이 일하는 아파트 건물의 주인인 "노페이스"에게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일리야는 동료들과 함께 파업을 주도한다. 호머는 노페이스에게 돈을 받아 일리야를 2주 동안 쉬게 하고 고전 교육을 시키지만, 일리야는 노페이스의 계략을 알게 되고 분노하여 파업을 더욱 ശക്ത하게 이끈다.

결국 매춘부들은 단체 교섭을 통해 임대료를 낮추는 데 성공하고, 호머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고 미국으로 돌아간다. 일리야는 자신의 삶을 지키고, 진정한 사랑을 찾아 나선다.

3. 등장인물

멜리나 메르쿠리, 줄스 다신, 요르고스 푼타스, 티토스 반디스, 미트소스 리귀소스, 데스포 디아만티두, 디모스 스타레니오스, 타나시스 베고스 등이 출연했다.

3. 1. 주요 인물


  • '''일리야''' (멜리나 메르쿠리 분): 피레아스 항구에서 일하는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매춘부이다. 일요일에는 일을 하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고객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스토아 철학과 에피쿠로스 철학에 따라 삶을 살고 있으며, 자신만의 개성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 '''호머 트레이스''' (줄스 다신 분): 미국인 학자로, 고대 그리스 문화가 쇠퇴한 이유를 연구한다. 일리야를 피그말리온의 갈라테아처럼 교화하려 하지만, 일리야의 긍정적인 삶의 방식에 결국 감화된다.
  • '''토니오''' (요르고스 푼타스 분): 이탈리아인 노동자로, 일리야에게 반해 그녀를 독점하려 한다. 일리야를 진심으로 사랑하며, 그녀를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준다.
  • '''조르고''' (티토스 반디스 분)
  • '''선장''' (미초스 리기조스 분)
  • '''데스포''' (데스포 디아만티두 분): 파업을 주도하는 인물이다.
  • '''푸벨''' (디모스 스타레니오스 분)
  • '''선원''' (디미트리스 파파마이클 분)
  • '''노페이스''' (알렉시스 솔로모스 분): 매춘부들이 일하는 아파트 건물을 소유하고 있으며, 높은 임대료를 받는다.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큰 선글라스로 가리고 다닌다.
  • '''타나시스 베고스'''
  • '''선원''' (파이돈 게오르기치스 분)
  • '''웨이터''' (니코스 페르마스 분)

3. 2. 조연


  • 티토스 반디스 - 조르고 역
  • 미트소스 리귀소스 - 선장 역
  • 데스포 디아만티두 - 데스포 역
  • 디모스 스타레니오스 - 푸벨 역
  • 타나시스 베고스

4. 주제

영화는 주인공 일리야를 통해 개인의 자유, 행복 추구, 여성의 주체적인 삶, 노동권, 사회적 연대와 저항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일리야는 피레아스 항구에서 자유분방하게 살아가는 매춘부로, 미국인 관광객 호머 트레이스와 만난다. 호머는 일리야의 삶이 그리스 고전 문화의 타락을 보여준다고 생각하여 그녀를 교화하려 하지만, 일리야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을 즐긴다.

얼굴 없는 건물주 "노페이스"와 매춘부들 간의 갈등 또한 중요한 주제이다. 노페이스는 높은 임대료를 요구하고, 매춘부들은 파업으로 맞선다. 일리야는 동료들을 이끌고 파업에 참여하여 임대료 인하를 이끌어낸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4. 1. 개인의 자유와 행복 추구

일리야는 그리스 피레아스 항구에서 사는 자유로운 영혼의 매춘부로, 사회적 통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욕망과 가치관에 따라 살아간다. 그녀는 일요일에는 일을 하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러한 일리야의 모습은 당시 그리스 사회의 보수적인 분위기와는 대조적이다.[1]

미국인 학자 호머는 일리야를 고대 그리스 문화가 쇠퇴했음을 보여주는 인물로 보았다. 호머는 스토아 철학과 에피쿠로스 철학을 언급하며,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위대한 행복은 이해의 기쁨이라고 믿었다. 반면 일리야는 자신만의 개성적인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며, 긍정적인 면을 부각했다. 예를 들어, 고전 드라마 '메데이아'를 보고, 메데이아를 남편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배려심 많은 어머니이자 아내로 해석하는 식이었다.[1]

이러한 일리야의 모습은 단순히 개인의 자유분방함을 넘어, 당시 그리스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리야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제약에 굴복하지 않는다. 이는 개인의 자유와 행복 추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4. 2. 여성의 주체적인 삶과 노동권

일리야는 자신의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개성적인 관점에서 삶을 바라보며 부정적인 것을 걸러낸다. 그녀는 고전 드라마 ''메데이아''를 라이벌로부터 남편을 되찾기 위해 그를 속이는 배려심 많은 어머니이자 아내로 본다. 메데이아가 남편에게 복수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들을 죽이는 무자비한 아내라는 것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자영업 매춘부로서, "가격을 정하지 않고 마음에 드는 고객하고만 관계를 맺는다"는 그녀의 방식은 여성의 주체적인 삶과 노동권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여준다.

매춘부들은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 일하는 아파트 건물의 소유주인 노페이스에게 파업을 위협한다. 영향력이 있는 일리야에게 모든 매춘부들이 파업에 동참하기 위해 일을 멈추도록 설득해 달라고 부탁하는 장면은, 여성 노동자들의 연대와 투쟁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볼 수 있다. 일리야는 다른 매춘부들을 이끌고 노페이스에 대한 파업을 벌여 일을 거부하고 머리판과 매트리스를 창밖으로 던진다. 매춘부들은 체포되지만 노페이스의 변호사는 그들의 벌금을 지불하고 일리야와 협상하여 임대료를 50% 삭감한다.

이러한 모습은 특히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았던 그리스 사회에서 더욱 의미 있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4. 3. 사회적 연대와 저항

일리야와 동료 매춘부들의 파업은 사회적 불의에 대한 저항과 연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얼굴 없는 "노페이스"는 매춘부들이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 일하는 아파트 건물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매춘부들은 노페이스가 임대료를 낮추지 않으면 파업하겠다고 위협한다. 노페이스는 독립적으로 영업하는 일리야를 좋지 않은 예라고 생각했고, 파업을 주도하는 데스포는 영향력이 있는 일리야에게 모든 매춘부들이 파업에 동참하기 위해 일을 멈추도록 설득해 달라고 부탁했다.

결국 일리야는 다른 매춘부들을 이끌고 노페이스에 대한 파업을 벌여 일을 거부하고 머리판과 매트리스를 창밖으로 던져버린다. 매춘부들은 체포되지만, 노페이스의 변호사는 그들의 벌금을 지불하고 일리야와 협상하여 임대료를 50% 삭감한다. 이는 사회적 약자들이 연대하여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 영화의 평가 및 영향

영화가 처음 이탈리아에서 개봉했을 때, 이탈리아 상영 등급 위원회는 이 영화를 VM16 등급으로 분류하여 16세 미만의 아동에게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위원회는 또한 대사 수정과 노골적인 장면 삭제를 요구했다.[6] 이후 다신과 메르쿠리는 이 영화를 뮤지컬로 각색하여, 메르쿠리가 다시 타이틀 롤을 맡은 ''일리아 달링''으로 브로드웨이에 올렸다.[7]

5. 1. 비평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9건의 평론 중 67%가 긍정적인 평가를 했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6점이다.[6]

5. 2. 수상

작사·작곡: 마노스 하지다키스수상의상 디자인상(흑백 부문)테오니 V. 알드리지 (데니 바프리오티 명의)후보


5. 3. 뮤지컬 각색

1967년, 영화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일리아 달링》이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었다.[7] 멜리나 메르쿠리가 다시 일리야 역을 맡아 토니상 뮤지컬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6.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Pote tin Kyriakiel는 1960년대 그리스 사회를 배경으로 하지만, 이 영화가 다루는 여성의 주체적인 삶, 노동권, 사회적 연대는 현재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노동 시장에서의 차별 해소, 그리고 사회적 약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연대의 중요성은 한국 사회가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영화 속 일리야는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이자 자영업 매춘부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살아간다. 이는 당시 그리스 사회의 여성상과는 거리가 먼 모습이었지만,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의 주체적인 삶과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화 속 매춘부들의 파업과 노페이스와의 협상은 노동자의 권리와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사회의 노동 운동 역사와도 맞닿아 있으며, 비정규직 문제, 최저임금 인상, 노동 시간 단축 등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노동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

결론적으로, Pote tin Kyriakiel는 1960년대 그리스 사회를 배경으로 하지만, 여성, 노동, 연대와 같은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면서 현재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7. 기타

이 영화는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한 영화 음악으로 유명하다. 마노스 하지다키스가 작사·작곡한 "일요일은 안 돼"(Never on Sunday|일요일은 안 돼영어)는 영화와 함께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여러 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1969년 7월 5일에는 TBC 토요 영화 극장에서 한국어 더빙판이 방영되기도 했다.

7. 1. 주제가

영화의 주제가 "일요일은 안 돼"(Never on Sunday|일요일은 안 돼영어)는 마노스 하지다키스가 작사·작곡했으며, 제33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이 곡은 영화와 함께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코니 프랜시스, 이디 고메, 더 코데츠, 페툴라 클라크, 도리스 데이, 나나 무스쿠리, 줄리 런던 등 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7. 2. 한국어 더빙

1969년 7월 5일 TBC 토요 영화 극장에서 한국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 멜리나 메르쿠리(일리야 역)는 토미나가 미사코, 줄스 다신(호머 역)은 호즈미 타카노부, 조지 푼다스|Giorgos Fountas|조지 푼다스영어(토니오 역)는 하사마 미치오가 더빙했다.

참조

[1]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7
[2] 간행물 On $151,000 Negative Cost, Forsee 'Never On Sunday' Rentals of $8 mill https://archive.org/[...] 1961-11-01
[3] 뉴스 All-Time Top Grossers Variety 1964-01-08
[4] 서적 Gods, Heroes, And Philosophers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Never on Sunday https://www.festival[...] 2024-02-29
[6] 웹사이트 Italia Taglia http://www.italiatag[...]
[7] 웹사이트 Tams Witmark Illya Darling https://www.concordt[...] 2023-06-24
[8] 웹사이트 Pote tin Kyriaki (1960) - Full Cast & Crew https://www.imdb.com[...] IMDb 2021-06-14
[9] IMDb Pote tin Kyriaki
[10] 웹사이트 Never on Sunday (1960)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6-14
[11]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